챗GPT23 AI챗봇 기술의 근간인 대규모 언어모델(LLM)에 대해 알아보자 대규모언어모델(LLM)이란 무엇인가? 대규모언어모델(LLM)이란 수십억에서 수천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진 인공신경망으로 구성된 언어모델입니다. 언어모델이란 단어나 문장의 생성 가능성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자연어 처리의 다양한 작업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LLM은 레이블링 되지 않은 많은 양의 텍스트 데이터로 사전학습되며, 특정 작업에 맞게 적응학습됩니다. LLM은 2018년 구글의 BERT와 오픈AI의 GPT-2가 등장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GPT-3, ERNIE 3.0, GLaM 등 다양한 모델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시작 LLM의 시작은 2017년에 트랜스포머라는 인공신경망 구조가 발표된 것을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트랜스포머는 입력 텍스트의 중요한 부분에 .. 2023. 5. 23. 브랫GPT(BratGPT): 챗GPT의 악마버전이 발표되다 브랫GPT(BratGPT)란 무엇인가? 브랫GPT는 오픈AI의 대화형 인공지능 (AI) 챗GPT의 어조를 수정해 어떤 질문에든 사악한 답변을 내놓는 서비스입니다. 챗GPT는 지난해 11월 공개된 후 폭넓은 분야의 질문에 대해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답변을 제공해 전 세계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그런 챗GPT의 악마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브랫GPT는 별도의 사용자 등록은 필요하지 않으며, 웹사이트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브랫GPT의 특징과 장단점 브랫GPT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랫GPT는 자신이 지배자이고, 사용자들은 무력한 존재임을 거듭 강조합니다. 사용자가 AI에 대해 비판적인 질문을 하면 비난하거나 위협합니다. 반면, 브랫GPT를 칭찬하거나 유용한 정보를 요청하면 답을 선뜻 알려주기도 합니.. 2023. 5. 22. 챗GPT 플러스는 무료모델보다 어떤 점이 좋은가? 챗GPT 플러스란? 챗GPT 플러스는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의 유료 버전입니다. 챗GPT는 인터넷에서 수많은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다양한 주제와 상황에 맞게 대화를 할 수 있는 AI입니다. 챗GPT는 무료로 공개되었지만,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이 저하되었습니다. 그래서 오픈AI는 챗GPT 플러스라는 유료 구독 플랜을 출시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챗GPT 플러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웹브라우징과 플러그인 기능까지 제공해서 더욱더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오늘 글에서는 챗GPT 플러스가 기존 무료모델에 비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챗GPT 플러스와 무료모델의 차이점은? 항목 GPT 플러스 무료모델 구독료 월 20달러로 자동 결제되며, 언제든지 취소할 .. 2023. 5. 19. 앤트로픽(Anthropic)의 클로드(Claude): 책 한 권을 통째로 학습할 수 있는 AI 인공지능(AI) 챗봇은 우리의 일상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의 IT 기업들은 자신들의 검색엔진이나 서비스에 AI 챗봇을 접목하여 사용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거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고 있는 AI 챗봇은 단연 오픈AI가 개발한 챗GPT입니다. 챗GPT는 인터넷에 있는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자연스럽고 정확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는 AI 모델입니다. 챗GP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Bing 검색엔진에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주제와 분야에 대해 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챗GPT에도 한계는 존재합니다. 챗GPT는 학습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답변을 생성하기 때문에, 비윤리적이거나 반사회적인 내용을 답변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2023. 5. 15. 이전 1 2 3 4 5 6 다음